보드를 미스한 AKo 운영법

1. 우리가 c-bet하고 상대가 콜했을 때
2. 우리가 c-bet하고 상대가 check-raise 했을 때
이 두 상황을 기준으로 각각 어떤 라인이 수익적인지, 그리고 왜 그런지 정리해봤어.
이건 단순히 “이렇게 하자”가 아니라,
상대의 핸드 구성, 우리가 갖고 있는 블로커, 그리고 range 간의 상호작용까지 고려한 전략이야.
상황 정리
포지션: SB (Hero)
핸드: AKo
보드: J 9 7 rainbow
상대: BB에서 call한 TAG 성향, 파이널 테이블 ICM 압박 있음
프리플랍: HJ에서 3.75BB 오픈 → CO, BTN 폴드 → SB에서 AKo로 flat → BB 콜
(우린 2nd 칩리더, BB는 칩리더)
① 플랍 이후 우리가 1/4 c-bet, 상대는 콜한 상황
이때 상대의 call range는?
대부분 Jx, 9x, 77~TT, Q9, T9, A9s 같은 미들페어 계열
일부는 KQ, QT, 86s, T8s처럼 스트레이트 드로우 혹은 gutshot
드물게 slowplay set (77, 99)도 포함
우리가 1/4 c-bet을 한 이유
SB flat 콜 → postflop에서 강한 range 제한
이 보드는 상대가 hit했을 가능성이 높은 보드 (BB는 넓은 range 콜)
하지만 우리가 약한 sizing으로 폭넓은 range를 대표하며 pressure 가능
특히 AKo는 overcard + nut bluff blocker로 적합
Turn 체크백은 왜 유리할까?
우리가 bet → turn에서 상대의 call은 거의 Jx 이상
이때 우리가 체크하면 상대 입장에서는 우리가 슬로우플레이 or bluff 둘 다 될 수 있음
river에 polar하게 bet을 밀어 넣는 구조를 만들기 위한 사전 작업
River에서 bluff가 수익적인 이유
상대의 range는 대부분 Jx 혹은 bluff-catcher
우리가 갖고 있는 AKo는 KJ, AJ, QJ 같은 value 핸드 블로킹 가능
QT, KQ 등 상대의 call-range와 충돌 안 함 → 블러프에 적합
적절한 sizing (예: 75%~pot bet)을 주면 JT 이하 핸드는 대부분 폴드함
요약
AKo로 플랍 1/4 c-bet → turn check → river bluff
이 라인은 우리가 value도 bluff도 충분히 주장 가능,
상대는 중간 value (JT 이하)를 상당히 자주 폴드함.
이 bluff는 단순한 시도용이 아니라 GTO 상에서도 bluff로 상위권에 드는 핸드이기 때문에
구조적 + 논리적으로 완성도 높은 bluff 라인이야.
② 플랍 이후 상대가 check-raise(2x) 했을 때
이건 완전 다른 상황이야. 여기서 중요한 건 상대의 레인지 구성, 그리고 우리 bluff plan의 포기 시점과 전환이야.
상대가 check-raise 했을 때, 우리는 뭐부터 생각해야 할까?
첫째, 상대가 flop에서 raise할 수 있는 핸드는?
J9, 97, 99, 77, 9T, QT, T8 등 value와 combo draw 섞은 구조
일부는 air bluff도 포함되지만 ICM 환경에선 비율 낮음
둘째, AKo는 여기서 어떤 역할?
거의 zero equity
상대가 call하고 싶지 않은 핸드를 블락하지 못함
showdown value 없음
그래서 call? raise? fold?
flop에서 bluff 3-bet은 너무 overplay
fold는 가장 쉬운 선택이지만, 이건 exploit 관점에서 너무 일러
가장 GTO스러운 선택은 플랜 B: flop call + turn에 포기 혹은 bluff 전환
우리가 call했을 때 turn에 할 수 있는 선택
Turn에서 상대가 check → 우리는 check back
(이때 bluff equity가 거의 없음)
혹은 turn에서 강하게 bet → overbluff 위험
→ 대부분의 경우 check back이 best
River에서 bluff는 가능?
가능하긴 해도, 상대가 이미 flop에서 range를 좁힌 상황
이때는 river bluff는 대부분 value를 이기지 못함
특히 상대가 Jx 이상으로 flop raise 했다면
→ turn check은 pot control or trap일 가능성 높음
결론: bluff보다 fold or check-back이 맞음
이 spot은 우리가 플랍에서 equity 없이 bluff를 설계하기엔 너무 어려움
flop raise에 call → turn check → river bluff까지 갈 핸드는 블로커가 확실한 핸드(KQ, QT 등)가 더 적합
AKo는 그 조건에 딱 맞진 않음 (equity는 없음, 블로커도 애매)
상대 레인지 cap 분석 (Check-raise 라인)
플랍에서 check-raise 한 상대의 range는 이렇게 cap할 수 있어:
강한 top pair 이상 (KJ, QJ, J9, J7 등)
combo draw (QT, T8)
소수의 air bluff (A8s, T6s 등)
상대 레인지 cap 분석 (Check-raise 라인)
플랍에서 check-raise 한 상대의 range는 이렇게 cap할 수 있어:
강한 top pair 이상 (KJ, QJ, J9, J7 등)
combo draw (QT, T8)
소수의 air bluff (A8s, T6s 등)
→ ICM 상황에선 비율 감소
→ 즉, 상대는 Jx 이상 혹은 bluff, 우리가 bluff로 압박해도 fold 빈도 낮음
결론
AKo는 아주 강력한 핸드지만, 보드 miss 상황에서는 무조건 c-bet → bet → bet으로 가기보다,
상대의 라인에 맞춰서 bluff와 컨트롤을 섞는 구조적 설계가 훨씬 수익적이다.
특히 MTT 파이널 테이블처럼 ICM 압박이 큰 상황에선
적절한 bluff 한 방이 수백만 칩의 가치를 가질 수 있어.
실제로 게임할 때 “AKo니까 무조건 세게 가야지” 보단,
상대의 반응 → 그 range cap → 그에 맞는 전략을 먼저 세우는 게 좋아.